전체 글
-
ETF 단점 및 유의점ETF 투자전략 2023. 8. 1. 08:46
주식투자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에 첫 번째가 서로 다른 자산군에 투자하는 분산투자이다. ETF는 1개 종목을 매수하기만 해도 분산투자를 하는 효과가 있어 투자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우리는 분산투자를 위해 보통 20~30개 종목에 투자하는데, 리밸런싱하기도 힘들고 관리도 쉽지 않다. 하지만 ETF를 2~3개 종목만 매수해도 20~30개 개별 종목에 투자한 효과를 낼 수 있어 ETF는 장점이 많다. 하지만 ETF를 이용하면서 여러 유의점이 있으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ETF의 단점과 한계점에 대해서 학습해보자. 1. ETF의 단점 1) 원금 손실에 유의한다. ETF도 주식과 같이 동일한 투자 상품으로 취급된다. 1주를 매수 매도하면서 원금을 손실할 수 있다. 2)..
-
ETF 란ETF 투자전략 2023. 7. 31. 08:47
1. ETF 개념 ETF는 Exchange Trade Fund이며,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한다. ETF는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처럼 쉽고 편하게 거래할 수 있는 펀드 중 하나이다. 펀드는 여러 주식을 상자에 담아서 거래소에 상장 시킨 후 상자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소액으로 여러 기업에 분산투자를 할 수 있도록한 상품으로 주식처럼 장중에 제한없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운영수수료도 있어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의 장점과 글로벌 ETF에 대해서 확인해보자. 2. ETF 장점 1)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사고 팔기 쉽다. 일반 펀드와 비교해서 수수료가 1/3 수준으로 저렴하다. 2) 시장의 지수를 추종..
-
이익률 지표로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 14.72%)퀀트 기술 2023. 7. 30. 15:00
1. 이익률 기반으로 계량하는 지표 이익률은 기업이 경쟁 및 시장의 위기속에서도 굳건히 버틸 수 있는 중요한 항목이다. 이익률은 치열한 기업간의 경쟁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의 결과이다. 이익률이 높은 기업은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자들보다 우월한 기술을 기반으로 브랜드 파워를 갖추고 있다. 이런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우리는 이익률 지표를 이용해서 계량하여 이익률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들을 찾아 리밸런싱하면서 투자할 수 있다. 독점적인 지위의 기업은 가격을 올려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다. 이런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은 강력한 무형의 가치를 가지고 있어 영업이익률이 높은 경향이 있다. 1)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눠서 계산할 수 있다...
-
회전율 지표로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 29.53%)퀀트 기술 2023. 7. 29. 08:25
1. 회전율 기반으로 계량하는 지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전율을 기준으로 하는 지표들을 확인해보고 백테스팅을 해서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자. 회전율 지표는 아래 3가지가 기본이 된다. 1) 총자산회전율 - 자산대비 매출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총자산회전율이 낮으면 기업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된다고 본다. -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총 자산 2)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채권 대비 매출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매출채권회전율이 높으면 외상으로 물건이 파는 일이 줄었다고 본다. -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매출채권 3) 재고자산회전율 - 재고자산대비 매출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재고자산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상품을 만드는 즉시 판매하고 있다는 좋은 상태이다. 하지만 재고자산회전율이 너무 높다면 재고가 없다는 ..
-
성장률 지표로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51.06%)퀀트 기술 2023. 7. 27. 20:59
1. 성장률 기반으로 하는 계량하는 지표 기업의 외형적 성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매출액 증가율과 자산 증가율이 있다. 그리고 기업의 수익 성장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영업이익증가율과 당기순이익 증가율이 있다. 이 지표들을 이용해서 분기마다 리밸런싱을 이용해서 투자했을 때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먼저 매출액 증가율은 재무제표에서 Revenue Growth로 표기된다. 증가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이전 매출액 대비 현재 매출액으로 계산할 수 있다. 1년 전과 비교하거나 3년 전과 비교하거나 할 수 있다. 2. 애플의 영업이익 성장률과 영업이익 상관관계 애플 종목을 3년 전과 비교하는 조건으로 영업이익 성장률과 영업이익을 차트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빨간색 선이 영업이익이고 하늘샌 선이 3년간 영업이익 증가율이다...
-
부채 및 차입금 비율로 안전한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8.11%)퀀트 기술 2023. 7. 26. 00:56
1. 부채 및 차입금 비율을 계량하는 지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채 및 차입금이 낮은 기업에 투자했을 때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부채비율이란 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즉 전체 자산에서 부채가 많은지, 자본이 더 많은지를 알 수 있다. 부채비율이 100%는 부채가 자본보다 더 많은 것이다. 하지만 부채가 높다고 안좋은 회사는 아니다. 레버리지는 이익을 위해 극대화 하기 위해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 부채비율이 줄어들면서 회사의 총자산도 함께 줄어들면 회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고, 부채비율이 줄어드는데 총 자산은 유지 또는 증가하고 있다면 돈을 잘 벌고 빚도 갚으면서 회사가 성장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애플의 부채비율과 총자산의 상관관계 그렇다면 애플 종목을 이용하여 부채비율과 ..
-
GP/A 영업효율이 좋은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22.48%)퀀트 기술 2023. 7. 25. 00:05
1. GP/A 이란 영업효율을 뜻하는 GP/A는 매출총이익 Gross Profit을 총 자산(Total Assets)으로 나눠서 계산한다. 매출 총이익은 매출액(Revenue)에서 매출원가(Cost of Revenue)를 뺀 값이다. 이익을 자산으로 나누는 것은 ROA와 유사하다. ROA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https://friendlydatas.tistory.com/19 ROA(Return of Asset, 자산대비수익률)를 이용한 투자전략(CAGR 수익률 10.14%) 기업의 어닝 시즌에 ROA라는 지표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ROA는 재무제표에서 자산 대비 이익을 말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인데, 부채는 긍정적인 부채와 부정적인 부채가 있다. 이 부분 friendlydatas.t..
-
RIM(Residual Income Model) 잔여이익모델 투자전략(CAGR 수익률 13.84%)퀀트 기술 2023. 7. 24. 00:30
1. RIM 잔여이익모델 이란 오늘 포스팅에서는 RIM이라는 잔여이익모델 지표를 가지고 투자전략을 세우고 백테스팅을 해보자. RIM은 Residual Income Model로 잔여이익모델이라고 한다. 잔여이익은 초과이익이라고도 한다. 즉 기업이 목표보다 초과한 이익을 내 목표수익률과 비교해서 주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초과이익은 목표 이상의 초과 수익으로 전체 벌어들인 수익에서 목표 수익을 뺀 것이다. 그러나 회사 내규의 목표 수익에 대해서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래서 보통 자본조달비용으로 목표 수익을 설정한다. 왜냐하면 회사의 목표 수익은 알 수 없고, 그렇다면 투자자의 목표 수익으로 산정해야 하는데, 투자자의 목표 수익은 투자자의 요구수익이고 이 요구사항은 기업에게 부담되는 재무제표로서 기업 입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