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ROE(Return On Equity, 자본대비수익률) 투자전략(CAGR 수익률 2.62%)퀀트 기술 2023. 7. 23. 00:30
앞의 포스팅에서 ROA에 대한 개념에 대해 공부하였다. ROA는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friendlydatas.tistory.com/19 ROA(Return of Asset, 자산대비수익률)를 이용한 투자전략(CAGR 수익률 18.64%) 기업의 어닝 시즌에 ROA라는 지표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ROA는 재무제표에서 자산 대비 이익을 말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인데, 부채는 긍정적인 부채와 부정적인 부채가 있다. 이 부분 friendlydatas.tistory.com 1. ROE와 ROA의 차이점 ROE는 ROA와 같은 개념이지만 자본을 사용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이이다. ROA는 자산을 사용하고 ROE는 자본을 사용한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부채가 악성 부채인..
-
2023년 7월 경기도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 TOP 10부동산 데이터 2023. 7. 22. 06:30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2023년 7월 현재 경기도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무엇일까? 국민 평형인 34평대 아파트를 기준으로 확인해보자. 순위는 KB시세 기준이므로 최근 실거래가와 오차가 있음을 감안해주시길 바란다. TOP 1 과천 주공10단지(19.5억) 1위는 과천시 중앙동의 주공10단지 아파트이다. 과천역 바로 앞 역세권이며 실거래는 19.5억이다. 조금만 지도를 좌측으로 이동해보면 길 건너 과천초등학교가 있고, 과천중학교와 과천여고, 과천외국어고등학교와도 밀접해 있는 과천에서 입지 최강의 아파트이다. 지금 경기가 어려워져 이슈가 조금 있어보이지만, 결국 재건축이 되어 과천의 대장 아파트가 될 중앙10단지 아파트이다. TOP 2 판교 삼평동 봇들마을8단지(19억) 판교 역세권의 봇들마을8단지가 2위를..
-
ROA(Return of Asset, 자산대비수익률)를 이용한 투자전략(CAGR 수익률 10.14%)퀀트 기술 2023. 7. 21. 08:23
1. ROA 란 기업의 어닝 시즌에 ROA라는 지표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ROA는 재무제표에서 자산 대비 이익을 말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인데, 부채는 긍정적인 부채와 부정적인 부채가 있다. 이 부분이 애매하기 때문에 ROE 지표가 필요하다. ROE는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본 대비 이익이다. ROE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시 한번 다룰 예정이다. ROA는 Return of Asset으로 자산대비이익을 말한다. 계산하는 수식도 굉장히 심플하다. 당기순이익을 자산으로 나눈다. - ROA = 당기순이익(Net Income) ➗ 총자산(Total Asset) ROA를 통해서 그동안 회사가 총 자산 대비 얼마나 벌었는지 그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ROA가 0.1이라고 한다면 자산(자본 + 부채..
-
PEG(Price Earning Growth Rate, 주가수익비율)퀀트 기술 2023. 7. 18. 23:40
앞의 포스팅된 글에서는 PER, PBR, PSR, PCR지표를 통해서 저평가된 기업들을 찾아 가치투자를 하는 전략을 알아보았다. PER, PBR, PSR, PCR지표는 아래 글에서 확인해보자. - PER : https://friendlydatas.tistory.com/11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기업의 본질은 이윤을 추구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가장 큰 척도는 이윤이다. 그래서 기업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만들었느데 그것을 PER이라고 한다. PER은 Price E friendlydatas.tistory.com - PBR : https://friendlydatas.tistory.com/12 PBR(Price to Book Value Rat..
-
NACV 청산 안전마진 투자 전략(CAGR 수익률 1.18%)퀀트 기술 2023. 7. 17. 20:15
1. NACV 란 NACV는 Net Current Asset Value로 청산가치이다. 기업이 청산하면 채권자의 몫인 부채를 상환하고 나면 주주에게 자본을 환원시킨다. 그래서 기업이 부채를 제외하고 가지고 있는 자본을 청산가치라고 한다. NACV를 활용하여 투자를 한 벤자민 그레이엄은 일반 투자자들보다 훨씬 더 보수적으로 유동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청산가치를 투자 지표로 여겼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비유동자산인 부동산, 공장, 기계 등은 현금으로 유동화가 어려워 가치가 없다고 간주해버리고 유동자산만을 자산이라고 여겼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한 청산가지 유동자산이 시총의 1.5배 이상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을 벤자민 그레이엄의 안전마진 투자 전략이라고 부른다. - 벤자민 그레이엄의 안전마진 ..
-
EV/EBITDA를 이용한 저평가 기업 가치투자 전략(CAGR 수익률 17.7%)퀀트 기술 2023. 7. 16. 23:16
1. EV/EBITDA 란 EV는 Enterprice Value로 기업의 시장가격라고 해석하는데, 시가총액 + 순차입금이다. 다시 말하면 시가총액 + 차입금 - 현금성 자산이다. EV를 사용하면 시가총액에서 차입금과 현금성 자산을 감쇄하기 때문에 더 보수적이고 타이트한 저평가 기업을 골라 투자할 수 있다. 사실 EV는 주식투자보다는 기업 M&A 에서 사용하는 개념인데, 기업을 인수하는데 발생하는 전체 비용을 뜻했으나, 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EV의 멀티플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EV/EBITDA지표이다. EBITDA는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and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이라고 한다. 굉장히 길지만 당기순이..
-
저평가 기업 가치투자 전략(CAGR 수익률 13.7%)퀀트 기술 2023. 7. 15. 21:16
1. 저평가 기업을 고르는 지표 앞에서 공부한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PSR(주가매출비율), PCR(주가현금흐름비율)을 가지고 저평가 기업을 골라서 가치투자 전략을 세워보자. 각 지표 특성에 맞게 이익이 저평가된 기업을 찾을 땐 PER, 자산이 많은 기업을 찾을 땐 PBR, 매출이 성장하고 있는 기업을 찾을 땐 PSR, 현금 흐름 능력을 중요시 하고 싶을 땐 PCR지표가 낮은 종목을 찾으면 된다. 위의 지표들을 조합해서 점수를 메기거나, 위의 지표들을 가지고 각각 저평가된 종목을 추려서 중복되는 종목을 선택해서 투자할 수도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PBR, PSR, PCR지표를 모두 사용하여 소형주(시가총액 기준 하위 20%)에 투자하는 전략을 만들어보자. 2. 백테스팅..
-
PCR(Price to Cash Flow Ratio, 주가현금흐름비율)퀀트 기술 2023. 7. 14. 21:08
1. PCR 이란 PCR은 주가현금흐름비율이다. Price to Cash Flow Ratio의 약자로 P/CF ratio라고도 한다. 앞에서 확인한 이익에 대한 가치 지표는 PER, PSR로 확인하고, 자본에 대한 가치 지표는 PBR로 확인한다면, 현금을 얼마나 잘 가지고 있고 현금흐름이 좋은지에 대한 지표는 PCR로 확인한다. 저평가를 판단하는 지표들에 비해 중요도는 낮지만 현금흐름도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저평가 지표들이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면 PCR지표를 가지고 한번 더 필터링 할 때 활용할 수 있다. PCR을 계산할 때는 영업현금흐름이라는 OCF르 ㄹ이용하는데, OCF는 당기순이익(Net Income) + 감가상각비(Depreciation & Amortization)으로 산출한다. 2. 애플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