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1. ETF 개념
ETF는 Exchange Trade Fund이며,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한다. ETF는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처럼 쉽고 편하게 거래할 수 있는 펀드 중 하나이다. 펀드는 여러 주식을 상자에 담아서 거래소에 상장 시킨 후 상자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소액으로 여러 기업에 분산투자를 할 수 있도록한 상품으로 주식처럼 장중에 제한없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운영수수료도 있어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의 장점과 글로벌 ETF에 대해서 확인해보자.
2. ETF 장점
1)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사고 팔기 쉽다. 일반 펀드와 비교해서 수수료가 1/3 수준으로 저렴하다.
2) 시장의 지수를 추종하거나 산업의 대표적인 기업의 주가를 따르기 때문에 종목선택의 실수를 방어할 수 있다. 게다가 한가지 ETF를 매수하면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ETF를 이용하면 AI, 빅데이터, 로보틱스, 미국 자국 주의 우선주 등 시장에서 트렌드를 놓치지 않고 매수할 수 있고 특정 산업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4) 소액으로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국내 삼성전자와 같은 굴지의 세계적인 기업에 투자할 수 있고, 주식과 채권 외 농산물이나 원유 등 거의 세계 모든 자산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글로벌 ETF 운용사 TOP 5
회사명 브랜드명 시장점유율 블랙록 아이쉐어즈(iShares) 37% 뱅가드 뱅가드(Vanguard) 19% 스테이트 스트리트 에스피디알(SPDR) 14% 인베스코 프로셰어즈(ProShares) 3% 노무라 노무라 2% 보통 글로벌 3사인 블랙록이나 뱅가드, 스테이트 스트리트 ETF를 주료 매수한다. 각 ETF별로 운용수수료와 시장 점유율이 다르다. 즉 주문량이 다를 수 있어 주의해서 선정해야 한다.
4. ETF 이름 구조
- ETF 종목 : iShares MSCI World
위의 ETF 종목 이름을 보고 어떤 종류의 ETF인지 알 수 있어야 한다. 일단 iShares는 블랙록의 브랜드 이름이다. 즉 운용사가 블랙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MSCI World는 투자대상 자산이다. MSCI World를 구글링해서 찾아보면 미국의 모건 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이 제공하는 여러 지수 중에서 미국과 유럽 등 23개 선진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종목으로 구성된 주가 지수이다.
그래서 종목을 보고 블랙록이라는 자산운영사가 운용하고 MSCI World인덱스를 추종하는 ETF라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5. 레버리지, 인버스 ETF 명칭
- 레버지리
구분 레버리지 수익률 3배 2배 표기사례 Bull 3X Bull 2X 3X Long 2X Long UltraPro Ultra - 인버스
구분 인버스 수익률 1배 2배 3배 표기사례 Bear 1X Bear 2X Bear 3X Inverse 2X Inverse 3X Inverse Short Ultra Short UltraPro Short 예를 들어보자.
- ETF 종목 : ProShares UltraPro Dow30
ProShares는 인베스코의 브랜드명이라고 얘기했다. 즉 운용사가 인베스코이고 일단 다우존수 30지수를 3배 추종하는 ETF 라는 뜻이다.
- ETF 종목 :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ear 3x shares
Direxion 자산운용사의 브랜드명은 Direxion이다. Direxion사가 운용하고 일간 미국 20년물 이상의 국채지수를 역방향으로 3배 추종하는 ETF이다.
반응형'ETF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성 최소 ETF 활용 전략 (0) 2023.08.08 국내 및 해외 ETF 투자 상품 (0) 2023.08.06 ETF를 활용한 서로 다른 자산의 혼합 전략 (0) 2023.08.03 분산투자를 위한 ETF 활용 (0) 2023.08.02 ETF 단점 및 유의점 (0)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