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변동성 최소 ETF 활용 전략
    ETF 투자전략 2023. 8. 8. 22:16
    반응형

     

    1. 변동성 최소화 전략

    변동성 최소화 전략은 어려 주식 종목 중에서 변동성이 낮은 상위 종목만 선정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다. 변동성이 작다는 것은 주가의 등락폭이 작다는 의미이다.

    주식으로 시장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얻으려면 지수보다 큰 수익이 나야한다. 그렇다면 지수보다 움직임, 즉 변동성이 큰 종목에 투자해야 할까? 아니다. 왜냐하면 수익과 손실은 비대이기 때문이다. 수익이 100%났고 손실이 100%났다면 이익일까 손해일까? 당연히 손해이다. 즉 손실을 줄이는 것이 위험 대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초보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크고 일별로 등락폭이 커 탄력적인 종목에 많이 투자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목은 결국 거품이 끼고, 폭락한다는 것이 역사적으로 증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저 변동성 종목들은 내수주나 경기 방어주, 가치주 등과 같이 시장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하는 종목들이 대다수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폭의 상승을 보이지는 않지만, 크게 하락하지도 않기 때문에 손실이 작아 수익이 커진다.

     

    2. 변동성 최소화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는 방법

    수천개의 종목이 있는 미국이나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서 변동성이 작은 종목을 찾아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초보 투자자들이 이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ETF를 활용할 수 있다. 이미 저변동성 지수를 추종하는 ETF상품들이 출시되어 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변동성 최소화 ETF상품은 FnGuide로우볼(Low Vol)저변동성 지수와 WISE로우볼 지수가 있다. 하지만 국내 ETF상품보다는 해외 ETF상품을 권장한다.

     

    3. 미국 변동성 최소화 ETF 상품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상품 특성 적용 상품 비중
    포트폴리오 1 변동성 최소화 USMV
    (iShares MSCI USA Min Vol Factor ETF)
    100%
    포트폴리오 2 미국 국채 TLT
    (iShares 20 Plus Year Treasury Bond ETF)
    60%
    글로벌 주식 ACWI
    (iShares MSCI ACWI ETF)
    20%
    변동성 최소화 USMV
    (iShares MSCI USA Min Vol Factor ETF)
    20%

     

    반응형

    'ETF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및 해외 ETF 투자 상품  (0) 2023.08.06
    ETF를 활용한 서로 다른 자산의 혼합 전략  (0) 2023.08.03
    분산투자를 위한 ETF 활용  (0) 2023.08.02
    ETF 단점 및 유의점  (0) 2023.08.01
    ETF 란  (0) 2023.07.3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