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
그리블라트의 마법공식퀀트 기술 2023. 8. 14. 00:04
1. 그리블란트의 마법공식헤지펀드 고담캐피털의 조엘 그리블라트는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이라는 책에서 마법 공식을 소개했다. 이 공식은 벤자민 그레이엄의 NCAV 전략을 오리지널 마법공식이라고 하면서 이 전략을 보완한 새로운 마법공식이라고 했다. 즉 마법 공식이라고 불리는 것은 결국 비슷한 컨셉으로 만들어진다. 어던 지표를 어떻게 합성하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데, 그 황금비율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그리블라트는 어떤 지표들을 합성했는지 알아보자. 그리블라트는 자본 수익률이 높은 회사의 주식을 낮은 가격에 사야 한다고 했다. 여기에서 자본수익률은 ROC(Return on Capital)를, 이익수익률은 Earning yield를 말한다.Earning yield는 PER의 역수이다. 결국 그리블라트의..
-
성장률 지표로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51.06%)퀀트 기술 2023. 7. 27. 20:59
1. 성장률 기반으로 하는 계량하는 지표 기업의 외형적 성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매출액 증가율과 자산 증가율이 있다. 그리고 기업의 수익 성장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영업이익증가율과 당기순이익 증가율이 있다. 이 지표들을 이용해서 분기마다 리밸런싱을 이용해서 투자했을 때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먼저 매출액 증가율은 재무제표에서 Revenue Growth로 표기된다. 증가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이전 매출액 대비 현재 매출액으로 계산할 수 있다. 1년 전과 비교하거나 3년 전과 비교하거나 할 수 있다. 2. 애플의 영업이익 성장률과 영업이익 상관관계 애플 종목을 3년 전과 비교하는 조건으로 영업이익 성장률과 영업이익을 차트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빨간색 선이 영업이익이고 하늘샌 선이 3년간 영업이익 증가율이다...
-
부채 및 차입금 비율로 안전한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8.11%)퀀트 기술 2023. 7. 26. 00:56
1. 부채 및 차입금 비율을 계량하는 지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채 및 차입금이 낮은 기업에 투자했을 때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부채비율이란 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즉 전체 자산에서 부채가 많은지, 자본이 더 많은지를 알 수 있다. 부채비율이 100%는 부채가 자본보다 더 많은 것이다. 하지만 부채가 높다고 안좋은 회사는 아니다. 레버리지는 이익을 위해 극대화 하기 위해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 부채비율이 줄어들면서 회사의 총자산도 함께 줄어들면 회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고, 부채비율이 줄어드는데 총 자산은 유지 또는 증가하고 있다면 돈을 잘 벌고 빚도 갚으면서 회사가 성장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애플의 부채비율과 총자산의 상관관계 그렇다면 애플 종목을 이용하여 부채비율과 ..
-
GP/A 영업효율이 좋은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CAGR 수익률 22.48%)퀀트 기술 2023. 7. 25. 00:05
1. GP/A 이란 영업효율을 뜻하는 GP/A는 매출총이익 Gross Profit을 총 자산(Total Assets)으로 나눠서 계산한다. 매출 총이익은 매출액(Revenue)에서 매출원가(Cost of Revenue)를 뺀 값이다. 이익을 자산으로 나누는 것은 ROA와 유사하다. ROA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https://friendlydatas.tistory.com/19 ROA(Return of Asset, 자산대비수익률)를 이용한 투자전략(CAGR 수익률 10.14%) 기업의 어닝 시즌에 ROA라는 지표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ROA는 재무제표에서 자산 대비 이익을 말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인데, 부채는 긍정적인 부채와 부정적인 부채가 있다. 이 부분 friendlydatas.t..
-
RIM(Residual Income Model) 잔여이익모델 투자전략(CAGR 수익률 13.84%)퀀트 기술 2023. 7. 24. 00:30
1. RIM 잔여이익모델 이란 오늘 포스팅에서는 RIM이라는 잔여이익모델 지표를 가지고 투자전략을 세우고 백테스팅을 해보자. RIM은 Residual Income Model로 잔여이익모델이라고 한다. 잔여이익은 초과이익이라고도 한다. 즉 기업이 목표보다 초과한 이익을 내 목표수익률과 비교해서 주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초과이익은 목표 이상의 초과 수익으로 전체 벌어들인 수익에서 목표 수익을 뺀 것이다. 그러나 회사 내규의 목표 수익에 대해서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래서 보통 자본조달비용으로 목표 수익을 설정한다. 왜냐하면 회사의 목표 수익은 알 수 없고, 그렇다면 투자자의 목표 수익으로 산정해야 하는데, 투자자의 목표 수익은 투자자의 요구수익이고 이 요구사항은 기업에게 부담되는 재무제표로서 기업 입장에서..
-
ROE(Return On Equity, 자본대비수익률) 투자전략(CAGR 수익률 2.62%)퀀트 기술 2023. 7. 23. 00:30
앞의 포스팅에서 ROA에 대한 개념에 대해 공부하였다. ROA는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friendlydatas.tistory.com/19 ROA(Return of Asset, 자산대비수익률)를 이용한 투자전략(CAGR 수익률 18.64%) 기업의 어닝 시즌에 ROA라는 지표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ROA는 재무제표에서 자산 대비 이익을 말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인데, 부채는 긍정적인 부채와 부정적인 부채가 있다. 이 부분 friendlydatas.tistory.com 1. ROE와 ROA의 차이점 ROE는 ROA와 같은 개념이지만 자본을 사용한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이이다. ROA는 자산을 사용하고 ROE는 자본을 사용한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부채가 악성 부채인..
-
NACV 청산 안전마진 투자 전략(CAGR 수익률 1.18%)퀀트 기술 2023. 7. 17. 20:15
1. NACV 란 NACV는 Net Current Asset Value로 청산가치이다. 기업이 청산하면 채권자의 몫인 부채를 상환하고 나면 주주에게 자본을 환원시킨다. 그래서 기업이 부채를 제외하고 가지고 있는 자본을 청산가치라고 한다. NACV를 활용하여 투자를 한 벤자민 그레이엄은 일반 투자자들보다 훨씬 더 보수적으로 유동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청산가치를 투자 지표로 여겼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비유동자산인 부동산, 공장, 기계 등은 현금으로 유동화가 어려워 가치가 없다고 간주해버리고 유동자산만을 자산이라고 여겼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한 청산가지 유동자산이 시총의 1.5배 이상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을 벤자민 그레이엄의 안전마진 투자 전략이라고 부른다. - 벤자민 그레이엄의 안전마진 ..
-
PCR(Price to Cash Flow Ratio, 주가현금흐름비율)퀀트 기술 2023. 7. 14. 21:08
1. PCR 이란 PCR은 주가현금흐름비율이다. Price to Cash Flow Ratio의 약자로 P/CF ratio라고도 한다. 앞에서 확인한 이익에 대한 가치 지표는 PER, PSR로 확인하고, 자본에 대한 가치 지표는 PBR로 확인한다면, 현금을 얼마나 잘 가지고 있고 현금흐름이 좋은지에 대한 지표는 PCR로 확인한다. 저평가를 판단하는 지표들에 비해 중요도는 낮지만 현금흐름도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저평가 지표들이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면 PCR지표를 가지고 한번 더 필터링 할 때 활용할 수 있다. PCR을 계산할 때는 영업현금흐름이라는 OCF르 ㄹ이용하는데, OCF는 당기순이익(Net Income) + 감가상각비(Depreciation & Amortization)으로 산출한다. 2. 애플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