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
분산투자를 위한 ETF 활용ETF 투자전략 2023. 8. 2. 23:18
주식투자에서 수익을 올리는 방법보다 중요한 것이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다. 손실을 줄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에서 첫 번째인 분산투자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보자. 1. 손실과 변동성 최소화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수익에 많은 집중을 한다. 왜냐하면 빠르게 수익을 얻어 부작가 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군가 수익을 얻으면 누군가는 손실을 얻는다. 그러나 제로섬이 아니다. 수익과 손실은 비대칭이고, 아무리 수익을 200%로 올렸다지만 -50% 손실을 입으면 본전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수익률이 몇 번 반복되면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이 불안한 투자를 계속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에서 첫 번째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손실과 변동성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즉 역설적으로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
-
ETF 단점 및 유의점ETF 투자전략 2023. 8. 1. 08:46
주식투자에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에 첫 번째가 서로 다른 자산군에 투자하는 분산투자이다. ETF는 1개 종목을 매수하기만 해도 분산투자를 하는 효과가 있어 투자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우리는 분산투자를 위해 보통 20~30개 종목에 투자하는데, 리밸런싱하기도 힘들고 관리도 쉽지 않다. 하지만 ETF를 2~3개 종목만 매수해도 20~30개 개별 종목에 투자한 효과를 낼 수 있어 ETF는 장점이 많다. 하지만 ETF를 이용하면서 여러 유의점이 있으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ETF의 단점과 한계점에 대해서 학습해보자. 1. ETF의 단점 1) 원금 손실에 유의한다. ETF도 주식과 같이 동일한 투자 상품으로 취급된다. 1주를 매수 매도하면서 원금을 손실할 수 있다. 2)..
-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퀀트 기술 2023. 7. 10. 23:26
1. PER 이란 기업의 본질은 이윤을 추구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가장 큰 척도는 이윤이다. 그래서 기업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만들었느데 그것을 PER이라고 한다. PER은 Price Earnings Ratio라고 하고 P/E Ratio 라고 쓴다. PER = 가격 / EPS로 계산한다. 2. 애플의 PER 역시 애플의 재무제표를 가져와서 PER을 그려보자. 기간은 10년으로 2013부터 2022년까지이다. 파란색이 PER 지표이고, 빨간색이 주가 그래프이다. 3. 애플 PER의 멀티플 Multiple 밴드 주가와 PER지표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처럼 보인다. 보통 PER과 같이 재무제표와 주가가 결합하여 주가배수를 Multiple이라고 부른다. 멀티플이라고 하면되는데..
-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퀀트 기술 2023. 7. 4. 22:38
1. MACD 란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라고 한다. 쉽게 말하면,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를 찾는 지표다. 즉,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다라고 말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평균선은 과거 어느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평균 주가를 가지고 구하는 것이라, 실제 보다 후행할 수 밖에 없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하나의 트릭을 추가했다. 간단한데, 이동평균을 구할 때 단순평균이 아니라 지수이동평균이라고 최근 값에 가중치를 준것이다. 최근 값에 더 민감하게 가중치를 줘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MACD는 단기이동평균에서 장기이동평균을 빼준 값으로 MACD가 양수이면 주가..